삭센다는 다이어트 주사제로 유명한 제품이다. 첫 출시 이후 선풍적 인기를 얻었을 때에는 근처 병원에서 흔하게 처방이 가능하였지만, 그 열기가 식은 요즈음에는 처방 병원을 찾는게 상당히 힘들어졌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삭센다 처방병원 찾는법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삭센다
삭센다는 다이어트에 사용되는 주사제이며, 비급여 제품이기 때문에 상당한 고가이다. 이외에도 냉장 보관이 필요하기 때문에 취급이 쉽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다. 삭센다가 한참 유행일 때에는 삭센다 취급 병원을 찾는 것이 매우 쉬웠지만, 한풀 인기가 꺾인 지금은 삭센다 처방 병원을 찾기 의외로 어려워졌다.
삭센다 처방병원을 찾는법으로는 직접 접화, 비대면진료 어플 통한 병원 검색, 각 병원 홈페이지의 비급여 비용 조회 등이 있다.
삭센다 처방병원 찾는법
직접 전화
주변 병원에 직접 전화를 걸어보는 것이다. 약 처방이 가능한 병원이라면 모두 해당되며 내과나 가정의학과 등 직접 전화를 해보도록 한다. 간혹 간호사 분이 삭센다를 다른 약품으로 착각하기도 하기 때문에, 처방이 가능하다고 답변 하더라도 한번 더 확인을 해주는 것이 좋다.
비대면진료어플 사용
코로나 이후로 비대면 진료가 가능해졌다. 특히 닥터나우라는 비대면 진료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사용되는데, 해당 어플을 사용하면 삭센다 처방 병원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닥터나우 어플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실행해준다.
닥터나우 어플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첫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메뉴중에서 [다이어트] 메뉴를 눌러준다.
다이어트 메뉴를 눌러서 넘어가면 다음과 같이 주변 지역에서 비대면진료가 가능한 의사들을 조회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좌측 상단의 필터를 눌러 거리순으로 정렬하면, 가까운 의사부터 조회가 가능하다.
가까운 곳에 있는 의사부터 눌러준 다음, 스크롤을 내려서 비급여 진료비 항목을 찾아본다. 다음 사진과 같이 [식욕억제주사]라는 항목이 있다면 삭센다를 처방하는 병원이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다이어트주사제 옆의 10,000원은 처방비용일 뿐이며, 약제 가격이 포함되지 않은 가격이라는것이다.
참고로 비대면진료어플을 활용하면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며, 택배를 통해 삭센다 수령이 가능하다. 다만 고가의 주사제인 만큼 직접 의사와 상담하고, 자세한 설명을 들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병원홈페이지 비급여 비용 고시 확인
병원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경우, 병원 홈페이지 비급여 비용 메뉴를 통해 삭센다 처방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각 병원들은 의료법에 의거(의료법 제45조 제1항 및 제2항과 동법 시행규칙 제42조의 제1항, 제2항 및 제3항)하여 비급여 진료비용을 고지할 의무가 있다.
다만 비용 문제는 민감한 부분이다 보니, 병원 홈페이지에서도 으슥한 곳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고 영세한 병원의 경우 업데이트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